망막 질환은 대개 50 살이 넘은 중년에서 시력저하, 심한 비문증, 시야 결손 등의 증상이 나타나 비로소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미 치료시기가 많이 늦어져 치료 후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특히 망막 박리와 같은 질환은 그 원인이 망막 주변부의 작은 열공(silent hole)에 의해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미 심해진 상태에서의 발견은 많은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대부분의 질환이 그렇듯이 망막에 생기는 질환도 초기에는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건강검진 차원의 정기 검사를 받아야만 우연히 발견되는데, 젊은 사람들이 아무 증상 없이 망막검진을 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아이메디 안과(www.allforeye.com) 김종민 원장은 “최근 들어서는 라식-라섹 등 굴절 교정 수술이 늘며 수술 전 검사를 통해 망막 주변부 변성, 망막 열공, 그리고 녹내장의 초기상태 등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며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라식-라섹 수술 활성화 후로 젊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망막박리는 많이 줄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그리고 근시가 심한 경우는 물론이지만 근시가 별로 심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의외로 많은 분들이 망막주변부에 변성이나 침묵하는 열공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망막 주변부변성이나 망막 열공 등의 질환은 초기에는 간단히 레이저 치료 등을 통하여 더 이상 심각한 상태로 발전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젊은 층도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라면 1년에 한번쯤은 망막검사를 비롯한 세밀한 눈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 |
아이메디 안과(www.allforeye.com) 김종민 원장은 “최근 들어서는 라식-라섹 등 굴절 교정 수술이 늘며 수술 전 검사를 통해 망막 주변부 변성, 망막 열공, 그리고 녹내장의 초기상태 등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며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라식-라섹 수술 활성화 후로 젊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망막박리는 많이 줄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그리고 근시가 심한 경우는 물론이지만 근시가 별로 심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의외로 많은 분들이 망막주변부에 변성이나 침묵하는 열공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망막 주변부변성이나 망막 열공 등의 질환은 초기에는 간단히 레이저 치료 등을 통하여 더 이상 심각한 상태로 발전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젊은 층도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라면 1년에 한번쯤은 망막검사를 비롯한 세밀한 눈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